스마트프로 공동개발 한수원, '원전 AI 두뇌' 개발 본궤도… 빅데이터 기반 AI 지원시스템 파일럿 오픈
페이지 정보

본문
원전 운전경험·정비·교육 빅데이터 융합… 2025년 9월, AI 교육 추천 파일럿 서비스 시행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원전 운영의 핵심 자산인 운전경험, 정비, 원인분석, 교육 분야의 방대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AI 지원시스템' 개발을 2024년 10월 본격화하였습니다.
본 사업은 원전 운영 노하우와 지식을 AI로 체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지난 2025년 9월 'AI 기반 원전 교육 검색 및 추천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파일럿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시행하였습니다.
'원전 특화 sLLM' 개발로 AI 두뇌 탑재
이번 시스템의 핵심은 원전 도메인에 특화된 sLLM(소형 언어 모델) 개발에 있습니다.
이는 LLaMA와 같은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 한수원이 보유한 방대한 원전 교육 데이터와 운전경험 데이터를 학습시켜 원자력 업무에 최적화된 AI 모델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개발된 AI는 '써제스트 AI(검색/추천)' 및 '원전 특화 LLM' 으로 구성되어 시스템의 핵심 두뇌 역할을 수행합니다.
AI가 구현하는 핵심 기능
구축되는 AI 지원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지능형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 맞춤형 추천: AI가 사용자의 인사 정보나 과거 이력 등을 분석하여 , 개인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 과정이나 과거 운영경험 문서를 자동으로 추천합니다.의미기반 AI 검색: 단순 키워드 검색을 넘어, "RCP 펌프 고장?"과 같은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의미기반 AI 검색 기능을 제공합니다.LLM 기반 요약 보고서: 사용자가 자연어로 질문하면, LLM이 관련 문서를 즉각적으로 요약·분석하여 보고서 형태로 생성합니다. 특히 이 기능은 설비 고장 관계를 도식화한 '네트워크 그래프(온톨로지 맵)'와 상호작용하여 원인과 결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주요 서비스: "개인 맞춤형 AI 추천"
이번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한수원은 다음과 같은 AI 기반의 주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 개인 맞춤형 AI 추천 서비스
- 검색 및 추천 정보 제공 서비스
- AI 탐색 및 추천 서비스
한수원 관계자는 "이번 AI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원전 운영 지식이 AI를 통해 전 직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되어 업무 효율성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이전글AI 융합 노약자 건강관리 'CareBridging Platform', 2025년 8월 개발 완료 25.10.29
- 다음글AI가 위험 예측, 디지털트윈이 재현… 스마트프로, 'AI 융합형 디지털트윈 안전 플랫폼' 개발 착수 25.10.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